Tesla

Tesla 에 대해서 알아보자!! (Tesla 주식 넣기전 무조건 봐야해요!)

Tesla 2021. 4. 15. 21:23
반응형

Tesla 에 대해서 알아보자!!

 

테슬라

 

Tesla 는 America 의 회사 입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주 팰로앨토에 America 의 전기자동차 와 네츄럴 에너지 컴페니 입니다. 2003 에 에버하드(CEO) 와 마크 타페닝(CFO)이 시작을 하였다. 페이팔의 경영자 였던 일론 머스크 가 같이 시작 하게 되었다. 회사 이름은 물리학자 였으며 전기공학자인 니콜라 테슬라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2010년 6월 나스닥에 상장되어 지금까지 굉장한 인기있는 주식으로 극상 하고 있다.

 

 

Tesla 의 매출은?

Tsla 는 2019년에 367,500대의 차량을 판매 하였습니다. 이것은 2018년보다 1.5배, 2017년보다는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엄청난 성장이죠?? 2012년부터 2019년 (약7년동안) 말까지 테슬라의 세계 판매량은 891,000대 이상이었다.2018년 10월 기준 테슬라의 판매량은 전세계 전기차의 약 20%를하였습니다.

위대한 기업, 파괴적인 혁신기업에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미래에 매출이 상당히 늘어날 수 있는 시장 잠재력이 어느정도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현재 시가총액은 약 6,200억 달러이고 매출은 2015년 4B에서 2019년 24B(245억)까지 매년 평균 60%의 매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곧 연초가 되면 2020 10-K 연간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므로, 이후 테슬라의 성장을 더욱 자세히 알 수 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Fremont와 Shanghai 에서 50만대를 목표로 하고 있고 이는 2019년 36만대인 것에 비해 약 40% 늘어났다.


또한 Troy Teslike 님은 2021년의 판매 예상을 86.7만대를 예상하고 있으며, 새롭게 추가되는 Giga Berlin, Giga Texas 에서 본격적으로 Model Y를 생산하고 Cybertruck과 Semi의 생산을 예상하고 있다. Cybertruck 같은 경우에 니켈 등과 같은 재료 수급의 문제 등으로 대량 생산에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으므로 2021년에는 아직 대량생산을 기대하기는 어려우나, 엄청나게 큰 트럭시장과 이미 주문되어있는 것만 보더라도 생산만 가능하게 된다면 매출의 커다란 성장이 가능하다.


2020년 6월 기준 Cybertruck의 예약은 약 65만대(싱글, 듀얼, 트라이의 비율이 약 2:4:4)가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매일 약 6,000대의 예약 증가와 예약자 중 FSD의 구매는 75%에 달하므로 대당 가격이 약 4만 달러라고 했을 때 잠재 매출은 30B 가 넘는다. 이것은 2019년 총 매출을 뛰어넘는 엄청난 양이다. 공장의 완성도와 대량생산이 이른 시점에 가능해질지, 딜레이 될지에 따라 달려있다고 보면 된다. 물론 한번에 이만한 물량을 생산할 수는 없기에 순차적으로 생산할 것이고 생산된만큼 매출에 잡히며, 생산 목표를 이루기 위해 Elon은 노력할 것이다.


매출을 좀더 세분화해보면 Automotive sales (자동차 매출) 이 총 20B, Services and other (차량 수리, 부품 판매, 중고차 판매) 에서 2B,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segment revenue (에너지 생성 및 저장, 파워셀, 파워팩, 메가팩 등) 에서 1.5B로 2019년은 24B의 매출을 기록했다. 자동차 매출은 매년 50% 이상씩 성장하고 있고 판매량이 많아짐에 따라 서비스 매출 또한 증가한다. Energy 에서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아직은 비중이 작다.
 

몇 년 안에 매출이 증가할 수 있는 사업이 보이지 않는다면, 투자를 하면 안된다. 테슬라는 앞으로 몇 년이 아니라 아직은 매출 성장이 끝이 보이지 않으므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 몇 달러에 매수를 할지 말지 고민하기보다, 현재와 10년~20년 뒤의 테슬라를 비교한다면 지금의 가격은 굉장히 저렴할 수밖에 없다. 조금이라도 싸게 매수하려는 것은, 지속적으로 투자를 이어나가야 하기에 심리전 안전마진과 멘탈을 유지하기 위함일 이유가 더 크다. 10~30%의 하락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평소에는 꾸준히 매수하다가 그런 시점에 오게 될 때 좀더 집중적으로 매수한다면 수익을 좀더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Elon Musk가 만들어가는 테슬라의 미래를 같이 즐기며 투자하고, 너무 급등할 때는 지켜보고, 횡보하거나 하락할 때 매수하고 홀드한다면 나도 모르는 사이 점점 부는 팽창할 것이라 확신한다.

 

Tesla 창립자 의 정체는??

창립자는 마틴 에버하드와 마크 타페닝으로 두 사람이 공동 창립 했습니다. 테슬라가 스페이스X 처럼 일론 머스크가 창립한 기업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일론 머스크는 투자자로서 테슬라와의 관계를 시작했다.

테슬라의 가능성을 본 머스크는 초기에 자금을 투자를 시작하여 최대의 주주로 성장하면서 모터 개발을 주도한 J.B. 스트라우벨 등의 엔지니어를 영입 을 하고 법률, 회계사를 주선하는 등 간접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초기 경영과 개발에 관여했던 이안 라이트 , J.B. 스트라우벨과 함께 공동 창립자 지위를 인정받았다. 

정말 일런 머스크 는 정말 대단한 천재 라고 생각합니다.

 

 

일론 머스크 는 도대체 누구야??

 

 

 

일론 머스크는 어릴적부터 책을정말 많이 읽은 사람이다. 책을 통해 스스로 배우는 것에 익숙했고, 어린나이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스스로 익혀 비디오 게임을 만들었다. 이 게임은 머스크가 공상 과학 소설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가상공간 게임으로, PC와 사무 기술이라는 잡지 회사로부터 500달러를 받고 소스코드를 공개하기도 했다. 

 

머스크는 다른 아이들과 달리 뛰어난 기억력을 가지고 있었고, 친구들과 노는 것보다 책을 읽는 것을 좋아했다. 
1989년 캐나다 온타리오 주 킹스턴에 있는 퀸스 대학교에 입학하여 공부를 하였고, 우수한 성적을 받은 덕분에 1992년에 장학금을 받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로 편입했다. 머스크는 그 곳에서 경제학 뿐만 아니라 물리학도 추가로 전공하였다. 24살이 되는 해인 1995년 머스크는 재료과학과 물리학 분야에서 스탠퍼드 대학 박사과정을 등록했다가 인터넷의 물결에 휩쓸려 스탠퍼드 대학교를 자퇴하고 실리콘 밸리로 이주하게 된다.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가졌으며 12세에 블래스터라는 비디오 게임을 만들어 500달러에 판매하기도 했다. 17세 무렵 캐나다로 건너가 킹스턴 퀸즈대학에서 공부하다가 1992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로 편입해 물리학과 경제학 학사학위를 땄다. 1995년에는 스탠퍼드대에 들어갔으나 2일 만에 자퇴하고 실리콘 밸리에 입성하게 된다.
 
1995년, 24세의 나이로 신문 출판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 정보 제공 사업 업체인 집투(ZIP2)를 설립했고, 1999년 이 회사를 컴퓨터 제조업체 컴팩에 매각해 2200만 달러를 받게 된다. 이 자금으로 머스크는 온라인 금융 서비스 사업 엑스닷컴(X.COM)을 세웠다. 엑스닷컴은 설립된 지 1년 만에 이메일 결제 서비스 페이팔을 보유한 콘피니티를 인수합병하며 사명을 페이팔로 전환한다. 이후 페이팔은 크게 성장했고 머스크가 엑스닷컴을 설립한 지 3년 만에 페이팔은 15억 달러에 이베이(eBay)에 매각하게 된다.
 
이후 머스크는 우주 로켓으로 관심을 돌려 2002년 6월 민간우주개발 업체 스페이스X를 설립한다. 스페이스X가 만든 최초의 모델은 팰컨1 로켓으로, 몇 번의 실패를 거듭하다 2008년 9월 발사에 성공했다. 이후 미국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화물을 수송하는 민간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다. 스페이스X는 재활용이 가능한 로켓 발사 시스템을 개발해 우주선 발사 비용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는 성과를 이뤄냈으며, 향후 화성 식민지화를 통해 인류의 화성 이주를 위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영화 ' 아이언맨' 의 제작 당시 토니 스타크 역을 맡은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캐릭터를 구상할 때 모티브로 삼았던 인물이기도 하다. 현재의 대표 직함은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CEO이다.

 

 

 

 

 

 

 

 

반응형